우리가 믿음을 가지면서 가장 혼란 스러워 하는 부분이 구원과 그에따른 삶입니다.
혼란스러운 이유는-
구원을 말하면서 삶의 행위가 함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교회를 다닌다고 해서 다 주님의 자녀가 아니라는 것은 모두 이해하실 것입니다.
주님께서 가라지의 비유를 말씀하실때 가라지를 뽑다가 알곡이 뽑힐까 염려되니 그대로 두었다가 추수를 할때 알곡과 가라지를 구분 하시겠다는 것으로 미루어 아마도 교회를 염두에 두지 않으셨나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교회 안에서 누가 알곡이고 누가 가라지일까요?
성경은 믿음을 그 기반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만- 다 믿는다고 하니 알곡과 가라지를 구분해 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구원받는 믿음과 그렇지 못한 믿음이 교회 안에서 동시에 존재하는 걸까요?
구원받지 못하는 믿음은 무슨 믿음일까요?
우리가 믿음의 장이라고 일컫는 히브리서 11장을 참고해 보고자 합니다.
거기에는 아벨에서부터 주님의 제자들에 이르기까지 믿음을 가진 선진들의 모습들을 죽 열거하고 있습니다.
그분들의 공통점이 있는데 그분들의 믿음에는 하나같이 막연함이 없다는 것입니다.
전심으로 하나님을 경배하였고 보이건 보이지 않건 주님의 명령에 따랐으며 주님의 인도하심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믿음이 있었기에 출애굽이 가능했고 홍해를 건널수 있었으며 자신을 버리고 하나님을 좇을수 있었습니다.
믿음이 있었기에 결박과 희롱과 채찍질과 돌로 치는것과 톱으로 켜는것과 칼에 죽는것과 궁핍과 환난과 학대를 기꺼이 받을 수 있었으며 믿음이 있었기에 그 증거를 받은 사람만이 견디고 이겨낼수 있는 그 믿음의 길을 갈 수 있었습니다.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지 못하는 것들의 증거라고 했으니 그것이 막연한 천국을 바라며 대충 인생을 때우는 것이 아닌것만은 확실해 보입니다.
동구라파가 공산화될때 교회가 무너지면서 성도들이 심연 깊숙히 눈물로서 믿음을 지켜가던 간증들이 있습니다.
손양원목사님이나 주기철 목사님의 간증은 우리에게 믿음에 대한 좋은 본보기입니다.
오늘날 중국에서 복음을 듣고 그 복음을 전하기 위해 고향으로 다시 돌아가는 같은 동포이자 믿음의 형제 자매들이 있습니다.
카타콤이 있었고 중국과 북한의 지하교회가 있으며 이슬람을 복음화 하려는 선교사들의 죽음이 있습니다.
믿음이란 예수님께서 내대신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셨다 그래서 난 천국에 갈 수 있다 라는 사실관계에 대한 알량한 확신만을 말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믿음이란 그 주님을 내 십자가를 지고 따르는 것입니다.
세상의 어떤 고난과 고통도 주님으로 인해 기뻐할 수 있는 것입니다.
주님의 심정을 닮아가고 인격을 닮아가고 사랑을 닮아가고 삶을 닮아가는 것입니다.
그 사랑때문에 주님이 사랑하시는 내 형제도 사랑할수 있게 된것이며 그 사랑에서 제외된자를 찾아 그 영혼을 불쌍히 여기고 그들에게 목숨을 다하여 복음을 전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거듭난자의 증표가 아니겠습니까?
저는 한번 거듭나면 영원히 구원을 잃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구원은 나로 말미암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으로 말미암기 때문입니다.
또한 거듭난 자라면 연약한 육신의 미혹이 있을지언정 죄를 자청할 수는 없습니다.
도피성이 불가피한 죄에 대하여 용서함을 받을수 있었지만 고의로 죄를 범한 자조차 용서 될 수가 없었던 것처럼 말입니다.
고의로 죄를 짓는자는 단언컨대 구원받지 못한자입니다.
육신의 연약함은 믿음의 연약함이며 그것은 영의 양식과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한 영적훈련으로 성장시켜 가야합니다.
믿음이 성장하지 못하는 이유는 구원을 못 받았거나 육신에 천착하려는 나태함 때문입니다.
연약한 믿음은 선한 욕망은 있으되 선행이나 전도는 커녕 자기의 믿음 지키기도 버거울지 모릅니다.
어린아이와 같은 젖먹는 믿음 말입니다.
선행이 믿음을 구분지울수는 없기에 선행으로 구원을 받는다는 것은 당연히 불가한 것입니다.
그러나 거듭난자의 선행은 믿음의 척도에 따라 반드시 그 삶을 통해서 나타나게 마련입니다.
거듭났다 하면서 선행을 우습게 여기는 것은 거듭나지 못한 증거요
거듭났으면서 선행을 하고있지 않다면 아직 젖먹는 믿음의 증거인 것입니다.
삶이 바탕이 되지 못한 믿음은 복음전도를 난감하게 합니다.
오늘날 수많은 대형교회와 그 지도자들의 바르지 못 한 행태를 보면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구원의 기회를 상실 당하고 교회를 떠나는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는 어떨까요?
그리스도인의 성실함에서 나태하여 복음의 열정까지 나태하여 지지는 않았나요?
다른 사람들을 핑계하는 것은 온당치 않습니다.
나의 믿음은 나와 주님과의 관계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타인에 대한 관계는 나의 그 믿음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늘 당신의 삶은 주님 안에서
어떻게 이루어져 가고 있습니까?
'성경의개관(지식,용어해설,상식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자가의 여정 (0) | 2012.06.02 |
---|---|
어리석고 무식한 변론을 버리라 (0) | 2012.05.28 |
[스크랩] 신완식목사의 십일조에 관한 양심고백 (0) | 2012.05.28 |
[스크랩] 34. 종말의 적그리스도 종교, 미스테리 바벨론 (0) | 2012.05.08 |
[스크랩] 환난 후 휴거에 대한 성경적 근거 (0) | 2012.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