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양은 인간이 예배를 통하여 하나님께 응답하고 기꺼이 나아가는 여러 방법 중 특출한 일면을 지닌 것이다.
하나님은 본질적으로 인간의 찬양의 대상이며(신 10:21) 이를 통하여 그의 신격(神格)과 행사 속에 있는 하나님의
탁월함과 유일함이 나타난다. 찬양은 하나님을 나타내지만 하나님을 완전히 보여주지는 않는다.
찬양은 하나님께 드릴 인간의 첫째 임무이기 때문에 히브리 성서에 찬양을 뜻하는 여러가지 단어가 있는 것은 필연적이다.
찬양을 나타내는 대표적 단어는 할랄, 야다, 자마르, 샤바흐 등이며, 바락(축복하다),
아나(번갈아 노래하다), 라난(외치다), 쉬르(노래하다), 길(기뻐하다) 등과 같은 단어도 있다.
1. 할랄: 강조형으로서 이 말은 찬양을 표현하는 말 중 가장 최고의 표현인 할렐루야(Halleujah),
즉 `너희는 여호와를 찬양하라'에서 나타난다. 몇가지 설명적인 예로 사 16:14('영화') ; 렘 48:2('칭송'), 51:41 ; 합 3:3등이 있다.
2. 야다: 그 뜻은 `감사하다, 찬양하다'이며 본래 이 단어는 예배와 연관성이 있었지만,
그 연관성이 없어지면서 감사의 한 요소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말이 되어서 할랄처럼 순수하진 못하다.
명사 토다는 '감사절', '찬송', '감사하여 바치는 물건'을 의미한다.
3. 자마르: 처음엔 가지치기 노래였으나 후에 일반적으로 감사의 노래가 되었다고 보는 형태이다.
보통 악기를 갖고 하는 찬양을 말한다.
4. 샤바흐: 시편과 전도서에 4번 나오고, 그 아람어형이 다니엘서에도 나온다.
찬양과 관련된 생각들을 시 113편의 앞 귀절들에서 볼 수 있다.
시 113편은 한가지 예외는 있지만 구약 속에서 찬양의 주요한 양상이나 주제를 보여준다.
'여호와를 찬양하라'는 귀절은 이 시편의 주제이다. 그러나 1절과 2∼3절에서는 찬양의 대상이 주 여호와 이름으로 확대된다.
그러므로 찬양의 대상이 단순한 주 여호와이거나 또는 그의 이름과 같은 어떤 속성이거나 또는 '나의 힘', '나의 구속자'같은 명칭이거나,
'우리 구원의 반석' 같은 은유적인 표현(95:1, 참조 : 18:1∼3)이 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시편 113:1에 두번째 논제인 `여호와의 종들', 즉 '찬양을 바쳐야 하는 자들'이 나온다. 그것은 단순히 `나(I)'일 수도 있다.
이것은 집단일 수도, 개인일 수도, 또는 `내 영혼'(103:1, 104:1)이나 `주의 성도'(145:10),
`우리 또는 우리들 제사장들'(135:19∼20), 성전에 있는 예배자들(149:2), 의인(140:13), 주의 구속자들(107편),
모든 나라들(100편),`호흡이 있는자'(150:6), 심지어는 모든 자연세계(19편, 89:5, 96:112, 97:1, 98:4,7∼8)일 수도 있다.
시편 113:2에는 찬양의 세번째 논제가 나오는데, 찬양을 드리는 경우, 즉 찬양을 드려야 할 때를 나타낸다.
이 귀절은 찬양이 계속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침과 밤, 새해, 승리를 했을 때와 고통을 당할 때까지
이 모든 경우가 찬양을 드려야 하는 경우가 된다.
또, 3절을 보면 찬양할 장소에 대해 말해주고 있다. 찬양은 동쪽에서부터 서쪽까지 어디서든지 찬양을 드려야 한다.
그러므로 시온에서도, 예루살렘에서도, 거룩한 산에서도, 성소의 주(主)앞에 있을 때에도,
심지어 침상에서도(63:5∼6, 149:5) 찬양을 드려야 한다.
시편 113:4은 하나님께서 찬양을 받으실 근거와 이유를 나타내고 있는데, 여호와는 모든나라 위에 높으시기 때문이다.
이러한 찬양의 주제는 'for'란 단어를 연구함으로 알 수 있게 된다. 히브리어 단어 키(왜냐하면)는 왜 인간은
하나님을 찬양해야 하는가 하는 이유의 실마리가 된다. 시편과 구약의 이유를 나타내는 절(節) 속에 숨겨진 신학이 있다.
113:4에서처럼 때때로 'for'는 표현되지 않지만 암시(함축)되어 있으며,
100:3에서 '...이신 줄 알지니라'는 'because(때문에)'의 변형이다.
요컨대 구약의 찬양의 개념에서 '때문에'를 연구하는 것은 가치있는 일이다.
시 113편에서 언급되지 않은 한가지 논제는 찬양의 방식이다.
`어떻게'란 논제에는 희생과 제물, 육체적 행동, 악기, 말, 금식(禁食), 묵상, 침묵 등이 포함된다.
이 모든 6개의 논제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찬양활동이 얼마나 자연스럽고 자발적이며 널리 보급되었는가를 알기 위하여
별도로 연구해 볼 가치가 있는 것이다.
* 참고 : 시편 103:3∼5, 104:2∼4, 113:5∼9, 41:13, 72:18∼19, 89:52, 106:48, 150 등출처 : 성가대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