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 합동측 총회신학부 보고자료
중보의 언어학적 배경 및 용어
1). 언어학적 배경 영어성경에는 "mediation"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어 있지 않으나 희랍어 신약성경안에는 "중보자(메시테스)"라는 용어가 6 회 사용되어 있고 이와 동일 어원을 지닌 "헤메시투세"가 하나님을 주어로 한번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양자간을 중재하며 이로써 일종의 보증을 제사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 중보자는 양자간을 중재함으로써 양편의 대리자가 되며 또한 양자간에 합의가 이루어지고 정의가 실행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보증을 제시해 주기도 한다.
희랍어(헤메시투세)가 사용되어 있는 신약성경안에는 화해의 의미가 한층더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다. 여기서의 강조점은 인간의 구원을 위한 그리스도의 사역과 그의 효율성에 있는 것으로 보이며 또한 히브리어에 있어서는 하나님과 인간사이를 화해시킨 시로운 중재자라는 의미를 한층 더 강하게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학적인 의미에 있어서 이 용어는 그리스도의 완성된 사역을 적용되기도 한다. 바로 이런 의미에 있어서 그리스도는 인간과 하나님 사이에 중보자이셨는데 이는 항상 "이질적인 것", "사이의 화해를 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서 이 용어는 흔히 그리스도의 존재성에 대한 이미에 있어서 대화의 통로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2). 중보라는 용어의 용례 중보라는 용어는 기독교에 있어서 전문적으로 사용되었다 할지라도 그 의미는 극히 모호한 용어 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종교에는 필연적으로 자연적인 것과 초 자연적인 것, 그리고 인간적인 것과 신적인 것이 구분되어 있으며, 다양한 존재의 범주들 사이에 어떤 관계가 성립될 경우 여기에는 반드시 일종의 중보가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이 중보의 개념이 종교적인 개념에 가까위 질 수록 하나님과 인간사이의 관계를 수립하고 이를 유지시키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중보의 개념은 반드시 인간의 죄악성에 대한 개념을 함축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존재의 서로 다른 두 양식 사이의 분리에 대한 개념을 한층더 보편적으로 함축하고 있다.
모든 인류는 하나님께 반역과 불순종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죄를 짓고 있는 것이다. 예언자들의 호소로 이스라엘 백성들을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로 회복시키지 못하였는데 이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행위가 악했을 뿐 아니라 그들의 마음도 악한상태에 빠져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과 맺은 일련의 계약들을 준수해야만 했으나 하나님의 모든 ㄷ도우심에도 불구하고 결코 선을 행할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하나님께서는 인간과 자신의 관계를 회복하시기 위하여 그 스스로 방도를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간격을 이어줄 수 있는 유일한 중보자를 인간에게 보내심으로써 강구하셔야만 했다.
중보자나 중보의 뜻은 "사이에 들다", "중재하다"라는 의미로 인간이 하나님께로 나아가는 것과 하나님이 인간에게로 내려 오시는 것은 납득이 되긴 하지만 이러한 일들은 인간의 죄로 불가능해진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3. 중보란 무엇인가?
중보의 문자적인 개념을 살펴보면 먼저 웹스터 사전에 의하면 중보하다(intersecede)는 "사이로 들어가거나 통과하다", "서로 다투거나 사람들을 화해시킬 목적으로 당사들 사이에서 활동하다", "중재하다", "조정하거나 중재하다"의 조정을 의미한다.
조정한다(mediate)는 (1)양 극단 사이에서 양자 모두의 친구로서 당사자들을 중재하다. (2)화해시킬 목적으로 적대적인 사람들 사이에서 협상하다.(3)화평을 조정하는 중보의 뜻으로 나타난다. 즉 조정(mediation)을 정의하고 중보가 조정을 정의하고 있다.
이런 정의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는 것처럼 중보의 개념은 조정하고 양자 사이에 들어가고 서로를 위해 변론하고 법적인 상황에서 상대방에 대해 한 쪽을 대표하지만 그러나 한쪽에 국한되지는 않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중보의 히브리어 "파가(paga)"는 "만나다"라는 뜻이다. 시 85:10 에 긍휼과 진리가 같이 만나고, 의와 화평이 서로 입맞추었으며 라고 했다. 긍휼과 진리와 의와 화평의 하나님은 죄인에게 접촉될 수 없다. 죄를 멸하시는 갈보리 십자가를 통해야만 우리는 하나님과 만날 수 있고 십자가 보혈을 통해서만 죄인인 우리가 의 자체가 되고 하나님과 만날 수 있는 것이다.
요 14:6 에 보면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오 올 자가 없느니라"한 말씀과 딤전 2:5 에 " 하나님은 한분이시요 또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중보도 한 분이시니 곧 사람이신 그리스도 예수"라 하였다.
이로 보건데 예수그리스도 외에는 누구도 중보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성경의개관(지식,용어해설,상식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벌코프의 조직신학에서의 중보자료 (0) | 2013.05.08 |
---|---|
[스크랩] 중보기도란 무엇인가? (예장총회신학부조사위원회 보고 자료) (0) | 2013.05.08 |
[스크랩]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하는 기도를 중보기도라 할 수 없다. (0) | 2013.05.08 |
[스크랩] 중보기도를 중재기도=중도, 혹 대언기도=대도로 함이 가할듯(박형용박사) (0) | 2013.05.08 |
[스크랩] 방언은 하나님께서 주시는 성령의 은사입니다. 그 방법은? (0) | 2013.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