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의개관(지식,용어해설,상식등)

[스크랩] 벌코프의 조직신학에서의 중보자료

한주랑 2013. 5. 8. 02:33

벌코프의 조직신학에서의 중보자료(1991년 8월20일 크리스찬 다이제스트발행, 권수경, 이상원역)

 

"중보사역은 매우 중요하다. 위하여 기도하자 와 누구를 품자등을 중보하자로 표현하면 큰 오류를 범하게 된다.

왜냐하면 중보는 단순한 단어의 의미를 떠나 예수님의 속죄사역이 포함되어 있고 또 예수님이 우리 위해 하나님께 간수하는 사역이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함부로 사용할 시에는 중보자의 자격인 인성 신성 무죄여야 하는데 우리는 그러지 못하다.

그런데 우리가 어찌 인간이 신성도, 유죄한데 중보할 수 없지 않느냐" 는 것이다.  매우 조심스럽다.  정말 함부로 말하지 말자

 

( 그리스도의 중보사역)

예수님은 오늘날도 하늘보좌에 앉으신 제사장으로서, 아버지와 우리 사이에 중보자(intercessor) 가  되신다.

 

-.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의 성질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은 그 필수적인 기초를 이루는 그의 속제적 희생과 분리될 수 없음이 분명하다.  그것은 단지 그리스도의 제사장 사역의 연장으로써, 이를 완결하는 것이다.

  중보의 직무가 속죄와 분리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으로서, 양자는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의 두 측면일 뿐이며, 또한 양자는 하나로 융합된다고 말 할 수 있다.

Martin은 성경에서 양자가 끊임없이 병행되어 나타나며 , 지극히 빌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지적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했다.

"중보의 본질은 속죄이며, 속죄는 본질상 중보이다"    또는 역설적 표현을 좀 더 온전하게 변경한다면 속죄는 참되다. (단순히 피동적인  임대가 아닌 진정한 희생과 봉헌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본질상 증동적이고 무류한 중보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중보는 참된 중보이다. (단지 영향력행사만이 아닌 법적, 대표적 제사적 중보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본질상 갈보리에서 일단 완성되었고, 이제는 하늘에서 영속적으로 드러지며 열납되고 있는 속죄 또는 대리적 봉헌이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의 중보에서 다음 요소들을 발견하게 된다.

1. 대제사장이 온전한 희생제사와 함께 지성소에 들어가서 이를 하나님께 드린것 같이 그리스도는 그의 온전한, 흠없는, 충족한 희생과 함께 하늘의 지성소에 들어가서 이를 아버지께 드리셨다.  .....

개혁파 신학자들은 그리스도의 온전한 제사가 하나님앞에서 영원히 있다는 것은 그 속에 예수그리스도의 완전한 속제를 끊임없이 상기시키는 중보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사실에 종종 주목했다.

 

2. 속죄의 경우과 마찬가지로 중보에도 법적요소가 포함되어있다.

그리스도의 속죄를 통해 율법의 모든 정당한 요구를 만족시켰고, 따라서 그가 속전을 대신 지불해 주신 사람들에 대한 여하한 법적고소도 정당성을상실하게 된다.  .............롬 8:33,34에 기록된 바울의 다음과 같은 말로서도 알 수 있다.  (누가 능히 하나님의 택하신 자들을 송사하리요 의롭다 하신이는 하나님이시니 누가 정죄하리요, 죽으실 뿐 아니라 다시 살아나신 이는 그리스도 예수시니 그는 하나님 우편에 계신자요,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시는 자시니라).....

 

3. ......우리의 도덕적 상태 즉 점진적 성화와도 관련된다.  우리가 성부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할 때 그리스도는 우리의 기도를 거룩하게 하신다......그리스도의 중보적 직무는 동시에 그의 백성들을 위한 보호의 직무이기도 하다. 그는 어려울 때, 시험을 당할 때 유혹에 빠질 때 그들을 도우신다. (우리에게 대제사장은 우리 연약함을 체휼하지 아니하는 자가 아니요 모든 일에 우리와 한결같이 시험을 자로되 죄는 없으시니라.  자기가 시험을 받아 고난을 당하셨은즉 시험 받는 자들을 능히 도우시느니라.) 히 4:15, 2:18.

 

4. 중보사역속에는 하나님의 백성들을 위한 기도의 요소가 있다.

만일 중보가 그리스도의 속죄사역과 한 가지라면, 결과적으로 중보의 기도는 하나님께 속한 일(히 5:1) 곧 구속사역의 완성과 관계될 수 밖에 없다.  이 요소가 포함된 것은 요 17장 의 중보적 기도를 볼 때 분명한데 여기서 그리스도는 사도를  및 그들의 전도로 자신을 믿게 사람들을 위하여 간구한다고 밝히 말씀하고 계신다.

 

C. 그가 중보하시는 사람과 주제 (p647)  -계속중-

 

**벌코프는 (깊은 연구를 위한 질문 p656 에서 ) 으로 남겨둔 질문

  *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의 성격은 어떠한가?

  * 우리의 중보적 기도는 그리스도의 중보적 기도와 같은가

출처 : 중보기도를 도고기도로
글쓴이 : white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