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전단원]역사1, 1단원 역사의 의미와 선사시대
I.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1. 역사의 의미와 선사시대
1. 역사의 의미와 선사시대 |
◈학습 목표◈ ◆역사의 두 가지 의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자, 공부를 시작할까요? 두산동아 역사1 교과서 12쪽을 펴세요~
|
|
②역사의 두 가지 의미 •사실로서의 역사: 과거에 일어났던 일 그 자체 •기록으로서의 역사: 과거를 탐구하여 기록하는 것 ③사료(史料) •기록: 과거 사람들이 남긴 기록 •유물: 과거 사람들이 생활하면서 남긴 도구 • *유적: 과거 사람들이 생활하면서 남긴 흔적
④역사 서술과 역사가 •역사가가 사료를 해석하고 재구성하여 역사 서술 •역사가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서술될 수 있음.
2) 우리는 왜 역사를 배워야 할까 ①문제 해결력과 역사적 통찰력 함양 - 현재의 삶을 반성하고, 당면 과제를 해결하는데 도움 되는 지혜를 얻음 ②역사적 사고력 고양 - 역사적 사고력과 비판력을 기를 수 있음 ③우리와 세계 여러 나라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국제 관계 형성 - 인간과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서로의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게 됨 |
|
|
|
|
사료는 역사 서술의 중요한 열쇠이다. 역사가들의 역사 서술은 사료를 해석하고 연구하여 이루어 진다. 사료에는 과거 사람들이 남긴 일기, 문서, 비문 등의 문자 자료와 생활도구, 그림과 같은 유물 및 집터, 옛무덤 등유적과 같은 등의 비문자 자료로 나뉘어진다. |
* 중동중학교 운동장 공사를 하다가 신석기 시대 때 사용하였던 토기가 발굴되었다. 이 토기는 유적인가, 유물인가?
|
다음의 기사를 통해 역사적 사실은 새로운 유물이나, 유적, 기록을 발견함에
|
* 삼국유사에서 소개하는 향가 서동요와 무왕 관련 기록에 따르면, 백제 무왕(제30대, 재위 600~641)은 서동으로 있다가 신라의 선화공주와 결혼한 후 무왕이 되었으며, 두 사람이 창건한 절이 미륵사라고 한다. 그러나 2009년 미륵사지 석탑 보수 공사 과정에서 사리호와 금제 사리 봉안기가 나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믿어왔던 역사적 가설이 설 자리를 잃게 되었다. 금제 사리 봉안기에는 무왕의 왕후가 미륵사를 창건한 것은 맞지만, 그녀는 사택적덕이라는 백제 좌평의 딸이라고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단의 역사 학자들은 왕후가 여러 명일 가능성이 있으며, 아직 속단하기는 이르다고 주장한다. 그런가 하면, 서동요는 백제 멸망 후 미륵사를 지키려는 승려들이 만들어 낸 설화일 뿐이라는 주장도 있다. 또 서동이 무왕이 아니라, 무령왕 혹은 동성왕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
- 중동중 역사 교사 송영심
역사란
|
* 1799년 프랑스의 나폴레옹이 이집트를 정복하였을 때, 원정군 포병사령관 부샤르는 로제타에서 세종류의 문자로 기록된 돌을 발견하였다. 1802년 영국에서 먼저 이 글자 중 그리스 문자를 풀어내는데 성공하였다. 그로부터 20년 후인 1822년 프랑스 학자 샹폴리옹은 누구도 해독못하던 돌 상단에 쓰여있던 신성문자(히에로글리프)를 해독하는데 성공하였다. 이후 이집트 문자로 남겨진 기록을 통해 이집트 역사에 대하여 알 수 있게 되었다.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고려시대 사람들이 고려 이전의 역사를 서술한 역사책이다. 하지만 역사가의 사관에 따라 서술한 내용의 차이가 크다. 삼국사기는 1145년 인조 때 유교적 사관을 가진 김부식을 편찬책임자로 하여 왕명에 의해 기록한 정사체 역사서이다. 이에 비해 삼국유사는 1285년 충렬왕 때 불교적 사관을 가진 승려 일연에 의해 편찬된 야사체 역사서이다. 삼국유사에는 삼국사기에서 편찬 책임자의 눈으로 제외된 단군의 건국 설화, 전설, 향가 14수, 불교 설화, 민담, 방언 등이 수록되어 있다. |
◐과제부과◑ * 다음 두 가지 과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출하시오.
1. ' 2001년에서 2010년까지 중요 역사 사건 10개를 선정하고, 각각의 사건을 선정한 이유를 제시하는 역사 쓰기를 해 보자. 2. 역사가가 되어 나의 연표를 만들어 보자. - 두산 동아 역사 교과서(1), 13쪽 탐구 과제 |
<해설>
☞사실로서의 역사 : 과거에 일어났던 모든 사건을 말한다.
☞기록으로서의 역사 : 과거의 사실을 토대로 역사가의 관점에 따라 재구성하여 기록한 것을 말한다.
☞ 유물 : 과거 인류가 남겨 놓은 삶의 흔적을 보여주는 물건
☞ 유적 : 과거 인류의 삶의 자취가 남아있는 장소로 집터, 건축물, 전쟁터, 비석 등이 포함된다.
☞로제타 석 : 로제타석의 내용은 프톨레마이오스5세를 칭송한 송덕비로 대관식 1주년을 맞아 BC 196년의 새겨진 것이다.
☞신성문자 : 이집트의 문자는 세가지로 되어있다. 그 중 신관들이 사용하는 문자가 신성문자(hieroglyph)이다. 히에로글리프를 간단하게 한 것이 히에라틱문자이고, 민중문자는 흘려쓰는 형태로 대중화된 문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