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및간증(동영상 포함)

[스크랩] The universe beyond the Milky Way galaxy

한주랑 2014. 1. 12. 19:41



The universe beyond the Milky Way galaxy.

3cdbdc79_img_4384jpg_m.jpg
* our Milky Way galaxy(은하수) that contains our Solar System.

600px-Andromeda_galaxy.jpg
* 안드로메다 은하(Andromeda Galaxy, 안드로메다 星雲)
안드로메다 은하까지의 거리는 지구에서 약 250만 광년으로, 우리 은하(지름이 10만 광년)보다 훨씬 먼 거리다.

* 세페이드 변광성(Cepheid variable, 變光星)-세페이드는 보통 항성종족 I에 속하는 황색 거성으로, 수축과 팽창을 통해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한다.

* 연주시차(年周視差, Annual Parallax)- 어떤 천체를 바라보았을 때 지구의 공전에 따라 생기는 시차. The term is derived from the Greek παράλλαξις (parallaxis), meaning "alteration."

13676.jpg
* 북극성(北極星, Polaris)은 작은곰자리(Little Dipper)의 꼬리에 있는 알파별 폴라리스다. 거리 약 800광년, 분광형 F8의 초거성이다. 또한, 주기 3.97일의 세페이드변광성이다. 그러나 지구의 세차운동 때문에 자전축의 방향, 즉 천구북극이 서서히 이동하므로, 작은곰자리 α는 천구북극에서 점차 멀어지고, 1만 2000년 후에는 거문고자리 α인 직녀성(Vega)이 북극성이 될 것이다. 지금부터 5000년 전에는 용자리 α가 북극성이었다.
북두칠성(北斗七星)은 큰곰자리(Big Dipper)의 7개 별 (국자모양=Dipper)이다.

umi-1.jpg
* 북두칠성(北斗七星)은 자미원(紫微垣)에 속하는 별자리로, 큰곰자리의 꼬리와 엉덩이 부분의 일곱 별을 말한다. 그 모양은 말(斗) 단위의 양을 재는 국자 모양과 닮았다.
(자미원(紫微垣)= 동아시아의 별자리인 삼원의 하나이다. 삼원 중 두 번째에 해당되며, 천구의 북극을 포함한다. 서양 별자리의 큰곰자리의 일부가 해당되며, 작은곰자리, 용자리를 포함한다.)
1382536576.jpg


* Henrietta Swan Leavitt (1868 – 1921) was an American astronomer. A graduate of Radcliffe College, in 1893 Leavitt started working at the Harvard College Observatory as a "computer," examining photographic plates in order to measure and catalog the brightness of stars. Leavitt discovered the relation between the luminosity and the period of Cepheid variable stars. Though she received little recognition in her lifetime, it was her discovery that first allowed astronomers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Earth and faraway galaxies.
Leavitt_henrietta_b1.jpg
        Henrietta Swan Leavitt working at her desk in the Harvard College Observatory.

                                  * Edwin Powell Hubble (1889 – 1953)
Edwin_Hubble_with_pipe.jpg

367px-100inchHooker.jpg
* The 100-inch (2.5 m) Hooker telescope, the world's largest telescope at Mount Wilson Observatory(MWO) that Hubble used to discover the general expansion of the universe.
The MWO is located on Mount Wilson, a 5,715-foot (1,742 m) peak in the San Gabriel Mountains near Pasadena, in Los Angeles County, California, northeast of Los Angeles.

MtWilsonAerial.jpg
Mount Wilson Observatory with the smaller 60 inch telescope cupola on right, the large 100 inch cupola on the left.

799px-HST-SM4.jpeg
The Hubble Space Telescope as seen from the departing Space Shuttle Atlantis. The Hubble Space Telescope (HST) is a space telescope that was carried into orbit by a Space Shuttle in 1990 and remains in operation. A 2.4-meter (7.9 ft) aperture telescope in low Earth orbit, Hubble's four main instruments observe in the near ultraviolet, visible, and near infrared. The telescope is named after the astronomer Edwin Hubble.

800px-Hubble_01.jpg
Hubble as seen from Discovery during its second servicing mission.

(cf.) * Palomar Observatory(팔로마 천문대) is a privately owned(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소유) astronomical observatory located in San Diego County, California (USA), 145 kilometers (90 mi) southeast of Los Angeles, California, in the Palomar Mountain (해발 1,713m) Range.
The observatory operates several telescopes, including the famous 200-inch Hale Telescope (5.1 m) and the 48-inch Samuel Oschin Telescope (1.2 m).

800px-PalomarObservatory.JPG

* * *

6875883.1.jpg

김희준 교수

1947년 생
1966년 경기고 졸업
1966~ 1970 서울대학교 화학과
1973~ 1977미국 Univ. of Chicago 물리화학 박사
1977~ 1979MIT 연구원
1979~1984 하버드의과대학 연구원
1984~ 1997 Arony Natick RDEC 연구원
1997~ 현재 서울대학교 화학부 부교수, 교수
일반 대중에게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여 국민 교육에 대한 서울대의 역할을 모범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번역서 『리비트의 별』(“Miss Leavitt’s Stars”, 원저: 조지 존슨)은 헨리에타 리비트와 에드윈 허블, 두 사람을 주역으로 삼아 지난 100년 사이에 인간이 우주의 기원을 밝혀낸 과정을 추적한다.
leavitt.jpg

* *

SNUOCW_자연과학의세계_1차시_김희준교수_#1 .
[1차시] 폭넓은 과학의 세계를 문학, 철학, 예술, 종교, 사회과학과 접목하여 흥미롭게 소개하는 이번 강좌에서는 에너지, 물질과 반물질, 양성자/중성자/전자가 만물이 되는 우주와 생명의 진화 과정을 노자의 '삼생만물(三生萬物)' 사상에 빗대어 설명합니다.


SNUOCW_자연과학의세계_1차시_김희준교수_#2 .


SNUOCW_자연과학의세계_1차시_김희준교수_#3 .


*

SNUOCW_자연과학의세계_2차시_김희준교수_#1 .
[2차시] 우주의 크기에 대한 뉴턴의 생각, 가까운 별의 거리를 재는 연주시차, 아주 멀리 있는 별의 거리를 재는 방법을 발견한 리비트 또 다른 은하의 존재를 발견한 허블까지, '우주의 크기가 얼마나 될까'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노력했던 과학자들의 발견을 살펴봅니다.



SNUOCW_자연과학의세계_2차시_김희준교수_#2 .


SNUOCW_자연과학의세계_2차시_김희준교수_#3 .


*

SNUOCW_자연과학의세계_3차시_김희준교수_#1 .
[3차시] 우주의 나이는 얼마인가, 즉 우주의 시작이 어떠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리비트의 법칙, 허블의 법칙으로 우주의 나이를 측정하는 방법과 빅뱅우주론의 확립 과정을 배웁니다



SNUOCW_자연과학의세계_3차시_김희준교수_#2 .


*

SNUOCW_자연과학의세계_4차시_김희준교수_#1 .
[4차시] 인간을 비롯한 삼생만물은 모두 원소로 되어 있습니다. 이 강좌에서는 우주 탄생의 '처음 3분' 간 일어난 원리를 바탕으로, 삼생만물을 태동시킨 원소가 우주를 이해하는 존재인 인간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봅니다.



SNUOCW_자연과학의세계_4차시_김희준교수_#2 .


SNUOCW_자연과학의세계_4차시_김희준교수_#3 .


SNUOCW_자연과학의세계_4차시_김희준교수_#4 .




Mozart: Variations for Piano on "Ah, vous dirai-je maman," K. 265.


출처 : Joyful의 뜰
글쓴이 : Joyful 원글보기
메모 :